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살림하는 주부의 재테크 정보(금융.정책.부동산)

(62)
23년 연말정산 출산공제(출산시 세금공제+산후조리원비용) 저출산 문제에 대한 위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닙니다. 국가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 세법에 출산에 대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100년 후 대한민국은 어떻게 바뀌어 있을까요? 우리나라 인구수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리라 생각됩니다. 지난번에 자녀세액공제에 대해 설명해 드렸는데요. 오늘은 출산 후의 세액공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고, 자녀세액공제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글을 읽어주세요. 도움이 되실 거예요. (하단 링크 클릭하시면, 자녀세액 공제 총정리로 페이지 이동합니다) ▼▼▼▼ 자녀를 출산한 해에는 출산비용과 산후조리 비용 등을 추가적으로 지출하게 되어있습니다. 또한 아이를 키우는 양육비용도 생겨나게 됩니다. 이런 부담을 줄여주고자, 정부에서는 '출산한 해..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 총정리(Ft.2023년 변동된 자격.기준) 대한민국 직장인이라면 '연말정산'이라는 제도, 모르시는 분들 없으실 거예요. 올해로 연말정산 도입 48년 차가 된다고 합니다. 매년 찾아오는 13월의 월급 '연말정산'. 바야흐로 2022년 근로소득에 대한 '연말정산' 시즌입니다. 매년 반복이라 익숙해져야 하는데, 할 때마다 새롭게 느껴집니다. 오늘은 성인이 되지 않은 자녀가 있다면 받을 수 있는 연말정산 '자녀세액공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자녀세액공제, 기본공제 대상 자녀 있다면 인원수만큼 세액 공제 자녀세액공제란? 거주자의 종합소득세액 계산 시 기본공제 대상 자녀가 있는 경우, 산출세액에서 일정액을 공제하여 주는 제도입니다. 쉽게 말해서, 기본공제대상 자녀가 있다면, 인원수만큼 세액을 공제해 준다는 의미입니다. 직장인이 기본공제 대상자에 해당하는 ..
기초연금 수급자격과 재산기준(Ft.신청방법) 경제력을 갖춘 이른바 '58년생 개띠'가 올해부터 노인 연령에 속하면서, 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베이비부머라고 말하는 1955년~1963년대 생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인 연령에 편입되면서 기초연금 수급자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노인 기초연금, 월소득 기준 202만 원, 부부가능 323만 원 이하면 가능 기초연금은 65세 이상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하는 노후소득 보장 목적의 급여로, 올해는 매달 32만 1950원을 지급합니다. 이 같은 기초연금 수급자의 소득 수준 기준이 올해 큰폭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같은 소득수준이더라도, 작년에 못 받은 사람이 올 해는 받을 수 있게 된 것입니다. 국민연금 수급자 증가 등으로 노인 소득이 개선되어 그 영향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혼자 사는 노..
2023년 공휴일 총정리 내일이면 대망의 2022년 마지막날이 됩니다. 언제나 새로운 해를 맞이하는 일은 설렘보다는 지난해에 대한 아쉬움입니다. 많은 사회적 이슈와 불안정한 경제소식 때문에 나라 안팎으로 어수선하기도 했지만 그 어느때보다 건강히 한 해를 보낸 우리 가족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해 보는 거 어떨까요? 힘든 세상속에서도 가족이라는 울타리가 있다는 사실이 새삼 감사해지는 한해의 마지막입니다. 한편, 새해에는 체감 경기도 안 좋다는데, 서둘러 오르고 있는 공공물가 상승 소식에 마음 한편이 불안해지기도 합니다. 다가오는 새해에도 모두 힘내서 열심히 잘 살아봅시다! 2023년 공휴일을 얼마나 될까요? 올해 공휴일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총 67일입니다. 주말과 대체공휴일을 포함한 주5일제 근무자의 휴일은 총 116일. 작년보다 ..
2023 전기요금 최대폭 인상(Ft.4인가구당 금액 계산) 전기. 가스요금 인상안 발표, 4분기보다 더 오른다 전기요금이 결국 올랐습니다. 지난 7월 7% 올렸다가, 다시 또 10월에 15.9%를 올린 상황입니다. 결국 오늘자 정부 인상안 발표로, 새해 2023년 전기요금도 인상이 확정되었습니다. 서민들의 체감 물가가 더욱 높아질걸로 보입니다. 오늘 정부에서 전기요금 인상안을 발표했습니다. 4인 가구 기준, 내년 1분기(1월에서 3월까지)에 월 4천 원 넘게 오를 전망입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전력이 내년 1분기에 전기 요금을 kwh(킬로와트시) 당 13.1원 인상한다고 오늘 발표했습니다. 최근 산업통산자원부와 한국전력이 국회에 제출한 연간 전기요금 인상 적정액은 kwh(킬로와트시) 당 51.7원이었는데요. 내년 1분기 전기요금 인상폭은 1년 치 1/4 정도입..
2023 버스택시요금인상(Ft.전기.가스요금 인상) 2023년 4월부터 서울 지하철과 버스요금이 300원 인상됩니다. 2022년 전기요금과 가스요금도 올랐는데, 새해에 추가로 올라간다는 소식입니다. 대중교통과 전기료, 가스비는 서민의 삶과 밀접한 생계형 지출이라, 다가올 내년이 걱정입니다. 서울 대중교통요금이 오를 경우 이와 연결된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까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서민들의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입니다. 구분 종료 교통카드 현금 인상전 인상후 인상전 인상후 택시 기본요금 3,800원 4,800원 3,800원 4,800원 심야할증 4,600원 5,300원 4,600원 5,300원 지하철 일반 1,250원 1,550원 1,350원 1,650원 청소년 720원 1,350원 어린이 450원 450원 간선 및 지선버스 일반 1,200원 ..
은행 이자 제일 높은곳(Ft.금감원 22년 마지막주기준) 금융회사 상품명 적립방식 세전이자율 세후이자율 최고우대금리 한국산업은행 KDI Hi 자유적금 자유적립 4.68% 3.96% 4.78% 전북은행 JB다이렉트적금 자유적립식 4.50% 3.81% 4.60% 케이뱅크 주거래우대 자유적금 자유적립식 4.45% 3.76% 5.05% 제주은행 MZ플랜적금 자유적립식 4.40% 3.72% 6.50% 한국산업은행 KDBdream 자유적금 자유적립식 4.39% 3.71% 4.49% 케이뱅크 코드K자유적금 자유적립식 4.35% 3.68% 4.53% 농협 e-금리우대적금 자유적립식 4.28% 3.62% 4.68% 카카오뱅크 카카오뱅크 자유적금 자유적립식 4.25% 3.60% 4.45% 제주은행 더탐나는적금3 정액정립식 4.10% 3.47 5.60% ※2022년 12월 마지막..
두루누리 사회보험 대상 및 지원기간(Ft.2023년 260만원 확대) 어렵게 회사에 입사했지만, 월급이 생각보다 적으면 많은 고민이 듭니다. 생활비와 교통비, 식비 등 모두 제하고 나면 사실 남는 게 없는 현실입니다. 내년부터 교통비 인상 소식과 더불어, 물가가 대폭 오를거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경기는 침체되고 있는데, 물가는 상승되고 있으니 현실은 더욱 고되기만 합니다. 이럴 때 부족한 월급을 조금이라도 아낄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정부지원금'두루누리' 지원금이란 제도인데요. 해당하시는 분들은 무조건 이득이니 꼭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게다가, 두루누리 지원금이 2023년 새해부터는 월평균 급여조건이 230만원에서 260만 원으로 확대됩니다. 오늘은 2023년 두루누리 사회보험에 대한 지원대상과 지원금. 그리고 신청방법 등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두루누리 사회보..

728x90
반응형